본문 바로가기
배우는 즐거움

2020학년도 수능 영역별 대비방법_한국사 영역 완벽 대비#1

by B&K 2019. 9. 27.

2020학년도 수능 영역별 대비 방법 한국사 영역 완벽 대비입니다.

블로그 내에 2020학년도 수능 영역별 대비 방법 시리즈가 영역별로 포스팅되고 있습니다. 포스팅 내용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된 객관적인 내용의 포스팅임을 말씀드립니다.

2020학년도 수능 한국사 영역을 완벽하게 준비하는 방법은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부터 출발합니다. 출제기관에서 제시한 한국사 영역의 평가 목표와 학습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한국사 영역은 필수입니다. 따라서 수능에 응시한 모든 수험생은 한국사 영역을 치러야 합니다. 만약 한국사 영역에 응시하지 않으면 수능 응시 자체가 무효 처리되고 성적 전체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한국사 영역은 고등학교 졸업자가 한국사에 대해 어느 정도 소양을 갖추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사 기본 지식의 이해 정도와 역사적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출제 문항 수는 20문항으로 전 문항 5지선다형입니다. 특정 단원이나 시대에 편중되지 않게 교육 과정에 제시된 한국사의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됩니다.

한국사 영역의 배점은 교육과정상의 중요도, 소요시간,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2점, 3점으로 차등 배점합니다.

4교시는 30분 동안 한국사 영역 시험 이후 탐구 영역 시험이 진행됩니다.

 

평가 목표

한국사 영역 시험은 역사 지식의 이해, 연대기적 사고, 역사 상황 및 쟁점의 인식, 역사 탐구의 설계 및 수행, 역사 자료의 분석 및 해석, 역사적 상상 및 판단 등 6가지 평가 요소를 고르게 측정합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사 영역에서는 지식의 탐색 과정을 묻는 문항을 중심으로 출제하되, 탐구의 전제가 되는 기본적인 지식이나 개념 또는 탐구의 결과로 산출되는 지식이나 개념을 묻는 문항도 함께 출제합니다.

 

학습 방법

㉮ 한국사의 주요 사건과 개념을 이해합니다.

역사 학습에 필요한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사실, 개념을 기억합니다. 사실 간의 관계, 용어, 개념을 이해합니다. 아래 예시 문항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대동법은 조선 후기의 경제 발전과 사회 변화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핵심 용어입니다. 조선 정부는 각 지역의 특산물을 공물로 납부하게 하였습니다. 공물을 특산물로 납부하면서 방납의 폐단이 생기게 되자, 조선 정부는 토지를 기준으로 하여 쌀이나 베, 동전 등으로 납부하게 하는 대동법을 실시하게 됩니다. 대동법을 시행하면서 정부는 공인을 통해 필요한 물품을 구입했으며, 그 과정에서 상품 화폐 경제가 발전하였습니다.

 

한국사에서는 주요 용어에 관해서 관련 교과목 내용 영역의 개념들을 서로 관련지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학습 과정에서 충분한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 역사의 변화와 연속성에 대하여 이해합니다.

역사적 사건의 흐름을 파악합니다. 역사적 사건의 원인과 결과의 연관성을 파악합니다. 아래 예시 문항을 보며 살펴보겠습니다.

이 문항은 동학 농민 운동의 흐름과 청일 전쟁 발발의 관계를 이해하는지 묻고 있습니다. 동학 농민군은 청과 일본이 개입한다는 소식을 듣고 정부와 전주 화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하지만 일본이 청을 기습 공격하면서 청 · 일 전쟁이 일어났으며, 동학 농민군은 일본을 몰아내기 위해 다시 봉기해서 우금치 전투를 벌이게 됩니다.

 

예시 문항과 같이 중요한 사건의 원인과 경과, 결과를 전체적인 줄거리 중심으로 이해한다면 굳이 세부적인 시점을 외우지 않아도 문항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도나 순서의 단순 암기가 아닌 역사적 자료와 증거를 활용한 논리적 이해가 효과적입니다.

 

㉰ 역사적 상황을 인식합니다.

현재 남아 있는 유물이나 유적, 사료 등을 통하여 당시의 사회 모습을 인식합니다. 아래 예시 문항을 보겠습니다.

이 문항은 선사 시대의 대표적 유물 사진을 통해 해당 시기의 모습을 묻고 있습니다. 제시된 사진은 모두 신석기시대의 대표적 유물입니다. 왼쪽 유물을 넓적한 돌 위에 둥근돌을 올려놓은 갈판과 갈돌이고, 이 돌들은 곡식을 가는 데 사용되었다. 오른쪽 유물은 바닥이 뾰족한 빗살무늬토기로, 이 토기는 곡식을 저장하거나 조리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두 유물 모두 신석기시대 농경 생활과 관련이 있습니다.

 

역사 학습에서는 각 시대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대마다 그 시대를 대표하는 중요한 유물이 있습니다. 그러한 유물이 무엇인지 알고, 그 유물의 쓰임새와 당시의 사회 모습을 관련지어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역사적 시대 상황을 비교하여 이해합니다.

다른 시대의 역사 자료를 통해 두 시대의 사회 모습을 서로 비교하여 변화된 모습을 파악합니다. 역사의 연속성과 변화 및 발전을 이해합니다. 아래 예시 문항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이 문항은 고려와 조선의 가족 제도를 비교하는 문항입니다. 고려 시대는 가족 내의 남성과 여성의 지위가 비교적 대등하였고, 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재산도 아들과 딸에게 균등하게 상속되었습니다. 그러나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삼은 조선이 건국되면서 가족 제도에도 성리학적 질서가 적용되었습니다. 그 결과, 자료에 나타난 것과 같이 재산 상속과 제사 시행이 남성 위주로 변화하는 등 조선 중기 이후에는 부계 중심의 가족 제도가 사회적으로 확산되기에 이릅니다.

 

역사 학습에서는 특정한 시기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시대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역사에서 사상이나 제도는 일정기간 지속되다가 어느 시점에 이르러 변화되곤 합니다. 사례를 통해 어떤 사상이나 제도가 유지되는 원리와 그것이 변화되는 계기를 알아보는 것이 좋은 학습 방법입니다.

 

㉲ 역사 탐구에 적합한 방법을 찾아 탐구 활동을 수행합니다.

역사와 관련된 중요한 질문에 대한 탐구 방법을 계획합니다. 관련된 자료를 찾아 탐구 활동을 수행해 봅니다. 예시 문항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이 문항은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 단원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6·25 전쟁의 진행과 결과에 대한 탐구 활용을 묻고 있습니다. 6·25 전쟁의 진행과 결과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자료를 찾아야 합니다. 인천 상륙 작전은 6·25 전쟁의 전세를 바꾼 중요한 사실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사진은 수행 평가 보고서의 수집 자료로 적합합니다.

 

탐구는 알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질문을 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질문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서는 조사하는 방법을 결정하고 계획과 절차에 따라서 탐구 활동을 수행해야 합니다. 학교 수행 평가 과제의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도 좋은 학습 방법입니다. 역사의 내용만이 아니라 역사를 연구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남은 유형에 대한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계속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다음 포스팅에서는 한국사 영역의 EBS 연계 방식 및 유형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