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학년도 수능 영역별 대비 방법 영어 영역 EBS 연계 방식 및 유형에 대해 알아봅니다.
본 포스팅은 EBS 및 특정 업체와 무관하며 수험생 및 예비 수험생과 그 외 많은 사람들에게 수능에 대한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수능 영역별 대비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영어 영역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못 보신 분들은 확인하시면 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영어 영역의 EBS 연계 방식과 유형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계에 대한 결론은 여러분 각자의 판단에 맡기겠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객관적으로 전달합니다.
'수능-EBS 연계 출제 정책'은 학습자의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영어 영역에서는 3가지 유형의 연계 방법을 활용하여 연계 문항들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각 유형별 특징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이 수능 영어 영역을 효율적으로 대비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 각 유형별 특징과 사례를 제시하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지문 활용 유형
지문 활용 유형은 수능-EBS 연계 교재에 수록된 다양한 분야의 지문을 직접 사용하여 문항을 개발하는 유형입니다.
아래 예시 문항을 통해 비교해 보겠습니다.
2019학년도 수능 영어 38번 문항은 2019학년도 수능-EBS 연계 교재 중 [수능환성 영어]의 159쪽에 수록된 29번 지문을 활용하여 문맥에 맞게 알맞은 자리에 문장을 삽입하는 문항으로 개발한 것입니다.
[수능완성 영어]에 수록된 지문에서는 인쇄술 발전 이전의 지식과 사상의 전파 방식을 역사적으로 설명한 후, 이전 방식의 단점과 비교하며 지식과 사상의 힘을 증진시킨 인쇄술의 장점을 다루고 있는데, 이러한 전체 내용의 흐름과 맞지 않게 쓰인 낱말을 찾아야 합니다.
2019학년도 수능 영어 38번 문항에서 주어진 문장은 필사에 대한 내용으로, 필사 방식의 단점에 대한 내용 이전에 위치해야 하는 문장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EBS 연계 교재 지문의 핵심 내용과 그러한 핵심 내용을 뒷받침하는 사항들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학습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2) 핵심 제재 · 논지 활용 유형
핵심 제재 · 논지 활용 유형은 수능-EBS 연계 교재의 지문과 주제, 요지, 소재가 유사한 지문을 활용하여 문항을 개발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예시 문항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2019학년도 수능 영어 18번 문항은 2019학년도 수능-EBS 연계 교재 중 [수능완성 영어]의 124쪽 27번 지문과 유사한 소재의 지문을 활용하여 목적을 찾는 문항으로 개발한 것입니다.
[수능완성 영어]에 수록된 지문은 요리 대회에 대한 안내문입니다. 한편, 2019학년도 수능 영어 18번은 요리 대회 참가자가 요리 대회 주최 측에 보낸 편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두 개의 지문은 '요리 대회'라는 공통의 소재와 주재를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EBS 연계 교재 지문의 주제, 요지, 소재와 유사한 다양한 글을 읽고 이해하는 학습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3) 개념 · 원리 활용 유형
개념 · 원리 활용 유형은 영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문장 구조나 어휘에 대한 이해와 적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수능-EBS 연계 교재의 지문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예시 문항으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019학년도 수능 영어 29번 문항은 2019학년도 수능-EBS 연계 교재 중 [수능완성 영어]의 95쪽 38번 지문을 활용하여 어법 문항으로 개발한 것입니다.
[수능완성 영어]에 수록된 지문은 이집트 예술 작품의 'monumentality'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문항 유형은 문맥의 흐름에 맞게 문장을 삽입하는 유형입니다. 2019학년도 수능 영어 29번은 기존의 문항을 활용하여 문법 사항을 묻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영어 문법 지식과 글을 구성하는 다양한 문장 구조의 특성을 학습한 뒤, 주어진 글의 맥락을 고려하여 문법성을 판단하는 연습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계속해서 다른 예시 문항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17학년도 수능 영어 29번 문항은 2017학년도 수능-EBS 연계 교재 중 [수능특강 영어 독해연습]의 203쪽 2번 지문을 활용하여 어휘 문장으로 개발한 것입니다.
[수능특강 영어 독해연습]에 수록된 지문은 '교사들 간의 교류의 필요성'에 대한 글로, 제목을 추론하는 문항입니다. 2017학년도 수능 영어 29번은 '고립된 상황에 놓인 교사는 자신보다 더 나은 교사가 있다는 사실을 모른다', '벤치마킹할 수 있는 과정의 부재로 좁은 시각을 갖는다' 그리고 '의견이나 정보의 교환 등을 하지 않았다' 등의 주요 내용과 관련된 핵심 어휘를 묻는 문항입니다.
이러한 유형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글의 전체적 흐름을 빠르게 파악하고, 주어진 어휘의 다양한 의미를 고려하면서 글의 흐름에 적합한 어휘의 의미를 유추하는 연습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4) 자료 활용 유형
자료 활용 유형은 수능-EBS 연계 교재에서 사용된 시각 자료(그림 또는 도표 등)를 활용하여 문항을 개발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예시 문항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2019학년도 수능 영어 6번 문항은 2019학년도 수능-EBS 연계 교재 중 [수능특강 영어 듣기]의 195쪽에 수록된 6번 문항의 그림을 활용하여 개발한 것입니다.
[수능특강 영어 듣기]에 수록된 문항은 대화를 듣고 대화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을 그림에서 고르는 유형으로, '가족 영화의 밤' 준비에 관한 부부의 대화를 담고 있습니다. 2019학년도 수능 영어 6번은 EBS 연계 교재 문항의 그림과 유사하게 가족이 함께 동영상을 볼 장소의 그림과 이와 관련된 모자의 대화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EBS 연계 교재에서 그림이나 도표 등에 제시된 주요 사항을 빠르게 검토하고, 제시된 대화 또는 담화에서 묘사된 사항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연습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계속해서 다른 예시 문항을 살펴보겠습니다.
2019학년도 수능 영어 25번 문항은 2019학년도 수능-EBS 연계 교재 중 [수능완성 영어]의 27쪽에 수록된 4번 문항의 도표를 활용하여 개발한 것입니다.
[수능완성 영어]에 수록된 문항은 '미국 대학교에 등록한 국제 학생의 상위 10개 출산국과 그 국가별 학생 수'를 표 형식으로 제시하고 표에 제시된 내용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한편 2019학년도 수능 영어 25번은 같은 내용 중 일부를 도표로 제시하고 그 도표에 제시된 내용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비교, 대조 등을 나타내는 영어 구문에 대한 지식을 익히고 EBS 연계 교재에서 그림이나 도표 등에 제시된 주요 사항이 정확하게 기술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연습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상으로 2020학년도 수능 영역별 대비방법 영어 영역에 대한 포스팅을 마칩니다.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배우는 즐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 계산과 성적표 자세히 분석 (0) | 2019.09.28 |
---|---|
2020학년도 수능 영역별 대비방법_한국사 영역 완벽 대비#1 (0) | 2019.09.27 |
2020학년도 수능 영역별 대비방법_영어 영역 완벽 대비#2 (0) | 2019.09.25 |
2020학년도 수능 영역별 대비방법_영어 영역 완벽 대비#1 (0) | 2019.09.24 |
2020학년도 수능 영역별 대비방법_수학 영역 나형 (0) | 2019.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