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는 즐거움

2020학년도 수능 영역별 대비방법_사회탐구 영역 EBS 연계

by B&K 2019. 10. 4.

2020학년도 수능 영역별 대비 방법 사회탐구 영역 세 번째 포스팅입니다. 수능 - EBS 연계 방식 및 유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포스팅 한 사회탐구 영역 대비 방법 #1을 보지 못한 분들을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19/09/30 - [배우는 즐거움] - 2020학년도 수능 영역별 대비방법_사회탐구 영역#1

 

2020학년도 수능 영역별 대비방법_사회탐구 영역#1

2020학년도 수능 영역별 대비방법 사회탐구 영역입니다. 본 포스팅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020학년도 수능을 준비하는 수험생과 예비 수험생들과 그 주위에 모든 분들에게 도움..

ddaddaripapa.tistory.com

2020학년도 수능 영역별 대비방법 사회탐구 영역의 수능 - EBS 연계 방식을 살펴보고 예시 문항을 통해 각 유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본 포스팅 내용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EBS 연계와 관련된 부분은 학국교육과정평가원의 내용을 발췌하였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작성되지 않았으며 어떤 업체의 지원이나 후원을 통해 작성된 글이 아닙니다.

 

개념 · 원리 활용 유형

첫 번째 유형은 개념 · 원리 활용 유형입니다. 사회탐구 영역에서 개념 · 원리 활용 유형은 수능-EBS 연계 교재 본문과 자료에 소개된 개념 및 원리를 활용하거나, 문항을 변형하되 정답을 찾는 데 필요한 핵심적인 개념과 원리는 그대로 연계된 유형입니다. 아래 예시 문항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019학년도 수능 윤리와 사상 4번 문항은 왕수인의 '치지' 개념을 주희의 '치지' 개념과 비교하여 명확하게 이해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입니다. 이 문항은 2019학년도 수능-EBS 연계 교재인 [수능특강 윤리와 사상]의 23쪽에 수록된 '성리학과 양명학의 차이'의 설명 내용과 주희와 왕수인의 '격물치지'에 대한 입장 설명 내용, 30쪽의 관련 문항 등을 바탕으로 개발한 문항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교육과정, 교과서, EBS 연계 교재에서 설명하고 있는 주요 사상 및 사상가의 입장에서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들을 분명하고도 깊이 있게 학습할 필요가 있습니다.

 

2019학년도 수능 한국 지리 1번 문항은 2019학년도 수능-EBS 연계 교재 중 [수능완성 한국 지리]의 9쪽에 수록된 8번 문항을 바탕으로 개발한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극북, 극남, 극동, 극서의 위치는 한국 지리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기본적으로 다루고 있는 주요 개념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EBS연계 교재에서 설명하고 있는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이를 구체적인 사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학습할 필요가 있습니다.

 

2019학년도 수능 동아시아사 7번 문항은 2019학년도 수능-EBS 연계 교재 중 [수능특강 동아시아사]의 80쪽에 수록된 '주희의 사서집주'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개발한 문항입니다. 이 내용은 교과서에서 기본적으로 다루고 있는 내용으로, 성리학의 성립과 발전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육과정, 교과서, EBS 연계 교재에서 설명하고 있는 동아시아사 전개의 핵심적인 사건과 이를 포괄하는 주요 개념에 대해 깊이 있게 학습할 필요가 있습니다.

 

2019학년도 수능 사회 · 문화 1번 문항은 2019학년도 수능-EBS 연계 교재 중 [수능 완성 사회 문화]의 126쪽의 1번 문항에 나타난 개념과 원리를 토대로 개발한 것입니다. 제시된 문항에서 (ㄱ)은 자연 현상, (ㄴ)은 사회 문화 현상, (ㄷ)은 사회 문화 현상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EBS 연계 교재에 근거하여 자연현상과 사회 문화 현상에 부합하는 답지의 설명을 찾아 그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자료 · 지문 활용 유형

두 번째 연계 유형은 자료 · 지문 활용 유형입니다. 사회탐구 영역에서 자료 · 지문 활용 유형은 수능-EBS 연계 교재에 소개된 자료나 지문 또는 문항의 자료나 지문을 전부 또는 부분 인용, 축소, 확대, 추가하여 자료나 지문으로 활용하는 유형입니다. 아래 예시 문항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019학년도 수능 생활과 윤리 17번 문항은 현대 사회 사상가인 롤스와 싱어의 '해외 원조'와 관련된 자료 및 지문을 통해 해당 사상가의 입장을 파악하는 능력을 측정합니다. 이 문항은 싱어와 롤스의 해외 원조 관련 자료를 활용하고 있는 2019학년도 수능-EBS 연계 교재 [수능완성 생활과 윤리] 152쪽에 수록된 18번 문항의 지문을 원전에 충실하게 재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한 것입니다.

 

2019학년도 수능 동아시아사 2번 문항은 고대 동아시아 각 지역에서 국가가 성립되고, 상호 교섭을 통해 발전하는 과정을 묻는 문항으로, 한의 대외관계를 다루었습니다. 이 문항은 2019학년도 수능-EBS 연계 교재 [수능특강 동아시아사] 24쪽에 제시된 자료 (나)의 사료 원문을 활용하여 개발한 문항입니다.

 

2019학년도 수능 경제 2번 문항은 2019학년도 수능-EBS 연계 교재 중 [수능완성 경제]의 101쪽 5번 문항에 제시된 월급 명세서의 지급과 공제에 대한 자료를 활용하여 수입과 지출 항목으로 제시한 것입니다. 연계 교재에서는 본봉, 건강보험, 국민연금 등이 무엇에 해당하는지 제시하고 있으며, 해당 수능 문항은 월급, 사회 보험료, 대출 이자 등이 무엇에 해당하는지를 묻고 있어 체감 연계도가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EBS 연계 교재에 제시된 자료나 지문을 구체적인 수준에서 깊이 있게 이해하여 이를 다른 사례에 적용하고 분석하는 학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문항 변형 유형

세 번째 연계 유형은 문항 변형 유형입니다. 사회탐구 영역에서 문항 변형 유형은 문항이 다루는 핵심 개념이나 출제 의도는 수능-EBS 연계 교재의 해당 문항과 일치시키되 지문이나 답지의 핵심 내용 및 표현을 일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변형하여 문항을 개발하는 방법입니다. 

 

2019학년도 수능 세계 지리 5번 문항은 2019학년도 수능-EBS 연계 교재 중 [수능완성 세계 지리]의 119쪽에 수록된 16번 문항을 변형하여 개발한 것입니다. [수능완성 세계 지리]에 수록된 문항은 남아메리카 지역의 국가별 민족 구성에 관한 것입니다. 지도에는 국가를 표시하고, 지문에서 국가별 민족 구성에 대하여 서술한 후, 빈칸에 알맞은 국가에 대한 특성을 찾도록 설계한 문항입니다. 남미의 국가별 민족 구성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문항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2019학년도 수능 동아시아사 20번 문항은 중국의 덩샤오핑이 추진한 개혁 · 개방 정책에 대한 이해를 측정하는 문항입니다. 대화문의 내용을 새로운 대화문으로 재구성하고 정답 내용으로 활용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문항에서 묻고자 하는 핵심 내용을 유사한 형태로 변형하여 개발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