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렉트로룩스 무선청소기 배터리 셀프 교체 과정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포스팅을 보며 따라 하면 충분히 하실 수 있는 과정입니다.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렉트로룩스에서 에르고라피도라는 이름으로 무선청소기를 출시하고 있습니다. 무선청소기를 써본 사람이라면 그 편리함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특히 일렉트로룩스 에르고라피도 무선청소기는 2 in 1 제품으로 작은 청소기를 분리하여 머리카락이나 과자 부스러기 들을 손쉽게 청소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무선청소기의 단점은 바로 배터리의 수명 저하와 그에 따른 흡입력의 저하 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흡입력이 약해지고 결국에는 전원 버튼을 눌러도 바로 꺼져버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때는 무선청소기의 배터리를 새것으로 교체하면 다시 처음과 같은 흡입력으로 새 제품을 구매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렉트로룩스 AS센터 방문도 쉽지 않고 배터리를 스스로 교체하는 것은 더 어렵습니다.
저 역시 언제 버릴까 고민하며 그동안 방치해 놓았던 무선청소기의 배터리를 교체하기로 마음을 먹고
온라인에서 저렴한 배터리를 구입하였습니다.
배터리의 선택은 본인의 몫입니다. 각자의 판단 기준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가격입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배터리가 네 개의 뭉치로 되어있고 서로 한 줄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양 끝부분은 붉은색 동그라미처럼 두 가닥의 선이 있습니다.
결론은 저 두 가닥의 선을 청소기 본체에서 나오는 두 가닥의 선과 연결하면 되는 작업입니다.
주의할 것은 어느 선끼리 서로 연결할 것인가만 신경 쓰시면 됩니다.
즉 같은 +극끼리, 같은 -극끼리 연결하면 되는데 기존에 연결되어 있던 배터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심플합니다! 기존의 연결된 두 개의 전선을 자르고 새로운 두 개의 전선으로 연결만 하면 끝입니다.
자!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배터리 교체 작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먼저 작은 청소기를 분리합니다.
그리고 먼지가 들어가는 플라스틱 통을 분리합니다.
뒷 면을 보시면 다섯 개의 나사가 있습니다. +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를 풀어 줍니다.
살짝 힘을 주어 커버를 분리하면 아래 사진과 같은 모습이 보입니다.
참고로 저희 집의 모델은 일렉트로룩스 에르고라피도 ZB3002라는 모델입니다.
붉은색 사각형 속의 나사 두 개를 더 풀어 줍니다.
그 후 붉은색 동그라미 속의 고리 두 개를 벌려주며 기판을 들어 올립니다.
그리고 위 사진에서 배터리들이 모여있는 흰색 플라스틱을 위로 들어 올려 빼낼 수 있습니다.
이제 분해는 끝이 났습니다.
기존의 배터리와 연결된 전선을 자르고 구입한 배터리의 전선과 연결하는 작업을 하겠습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잘 보시면 배터리들끼리 연결되어 있는 전선을 제외하면,
배터리가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전선은 두 군데입니다.
한 군데는 한 가닥이고 다른 한 군데는 두 가닥이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을 것입니다.
전선의 색깔로 구별이 가능하지만(빨강, 검정 혹은 빨강 검정 반반 등)
더욱 정확한 방법은 배터리에 쓰여있는 + 와 - 표시를 통해 구별하시면 됩니다.
위 사진 왼쪽을 보시면 배터리의 -극에 전선이 연결되어 있고,
AA사이즈 두 개가 하나의 뭉치를 이루고 있습니다.
나머지 한쪽은 손잡이 부분의 기판 아래에 AA사이즈 세 개가 하나의 뭉치를 이루고 있으며,
아마도 배터리의 +극과 연결이 되어 있을 것입니다.
새로 구입한 배터리를 기존의 결합되어 있던 방식 그대로 결합을 합니다.
잘 살펴보시면 +극, -극이 배터리에 표시되어있고 각각 전선이 연결되어 있을 것입니다.
배터리 양끝에서 나오는 전선만 +, - 에 맞게 본체와 연결해 주면 됩니다.
정리합니다!!
1) 기존의 배터리 +극과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전선(한 가닥)을 자르고
새로운 배터리 +극과 연결.
2) 기존의 배터리 -극과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전선(두 가닥)을 자르고
새로운 배터리 -극과 연결.
끝!
조립은 분해의 역순으로 하시면 됩니다!!
편하게 깨끗하게 생활하시기 바랍니다!!
'알아가는 기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피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_대한의사협회 (0) | 2020.02.28 |
---|---|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 분석 중간발표_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0) | 2020.02.27 |
Critical point 임계점이란? (0) | 2019.10.05 |
찌아찌아족의 한글 도입 10년_그 후 (0) | 2019.10.03 |
'역활'의 놀라운 국어사전의 뜻 (0) | 2019.10.01 |